맨위로가기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은 일본 가나가와현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으로, 오다와라역에서 하코네유모토역을 거쳐 고라역까지 연결된다. 1919년 개통되었으며, 최대 80‰의 급경사와 30m의 급커브, 삼선 궤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다큐 전철의 특급 로망스카와 일반 열차가 운행되며, 하코네유모토역에서 고라역 구간은 하코네 등산 철도 소속의 전동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드리드 지하철
    마드리드 지하철은 1919년 개통된 스페인 최초의 지하철로, 12개의 노선과 1개의 지선, 330개 이상의 역을 통해 마드리드 시내 및 외곽을 연결하며 지속적인 확장과 현대화를 거치고 있다.
  • 191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하쿠비선
    하쿠비선은 구라시키역과 호키다이센역을 연결하는 총 138.4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서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이바라 철도가 운영하고, 단선 및 복선 구간과 전철화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고쿠 종합 사령소에서 운전 사령을 관할하며 일부 구간에서 ICOCA IC 승차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고라 역에 있는 하코네 등산 철도 1000 시리즈
고라 역에 있는 하코네 등산 철도 1000 시리즈 "베르니나" 열차
노선 이름하코네 등산 철도선
다른 이름하코네 등산 전차
로마자 표기Hakone Tozan Tetsudō-sen
노선 특징산악 철도
노선 기점오다와라역
노선 종점고라 역
역 개수11개
노선 길이15.0 km
궤간표준궤: 일부 구간
협궤: 일부 구간 (1067 mm)
최소 곡선 반지름555 ft (약 169 m)
최대 경사8%
고도차553 m
선로 수단선
전철화직류 750 V (가공 전차선)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신호 방식자동 폐색
열차 보호 장치D-ATS-P
소유주오다큐 그룹
운영자오다큐 하코네
차량 기지이리우다 역
개업일1919년 6월 1일
최고 속도60 km/h (오다와라 역 - 하코네유모토 역 간)
40 km/h (하코네유모토 역 - 고라 역 간)
웹사이트오다큐 하코네 공식 웹사이트
운행 정보
노선 기호OH
역사
개통1919년 6월 1일
전체 개통1935년 10월 1일

2. 역사

1888년 10월 1일, 고즈역에서 오다와라역을 경유하여 하코네유모토역까지 오다와라 마차 철도가 개통되었다. 1896년 10월 31일, 운영 회사 이름이 오다와라 전기 철도로 변경되었고, 1900년 3월 21일에는 노선이 전철화(노면 전차, 600V DC)되었다.

1919년 6월 1일, 하코네유모토와 고라역 사이에 전철화된(600V DC) 푸니쿨라 철도로 노선이 개통되었다. 1920년 12월 16일, 고즈-오다와라 간 노면 전차 노선은 폐지되었고, JGR(현 JR) 도카이도 본선과 오다와라에서 연결되었다. 1928년 8월 16일, 하코네 등산 철도가 설립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본선 철도가 하코네유모토에서 오다와라까지 연장되었다. 하코네이타바시역 간 노면 전차 노선은 유지되었으며 "오다와라 시내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0년 12월 20일, 노면 전차 구간이 "오다와라 시내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8년 6월 1일, 하코네 등산 철도는 오다큐 그룹에 편입되었다.

1950년 8월 1일, 오다큐 전철신주쿠역에서 하코네유모토까지 특급 및 급행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오다와라와 하코네유모토 사이의 복선 궤도 구간에 대해 노선 전압이 1,500V DC로 변경되었다. 1956년 6월 1일, 오다와라 시내선(노면 전차)은 폐지되었다.

1993년 7월 14일,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이 600V에서 750V DC로 전압이 상향되었고, 3량 편성 전동차(EMU) 사용이 시작되었다. 2006년 3월 18일, 하코네 등산 철도는 오다와라와 하코네유모토 사이에서 자체 차량 운행을 중단했고, 복선 궤도 구간이 이리우다역-하코네유모토역으로 축소되었다.

2008년 3월 15일, 새로운 오다큐 "로망스카" 직통 운행이 기타센주역에서 시작되었다. 2019년 10월 12일,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심각한 피해로 하코네유모토와 고라 사이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폭우로 인해 선로 위 산사태가 발생하고 궤도 자갈이 유실되었다.[1] 2020년 7월 9일, 정비된 노선에서 시험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7월 23일에 운행이 재개되었다.[2]

2024년 4월 1일, 운영 회사 이름이 하코네 등산 철도 주식회사에서 오다큐 하코네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8]

2. 1. 건설 과정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은 1919년 일본 국외를 외유한 명사들의 제안을 계기로 개업한 철도 노선이다. 건설 당시 스위스의 베르니나 철도(이후의 레티셰 철도 베르니나선)를 참고했으며, 그 인연으로 1979년에 하코네 등산 철도(현: 오다큐 하코네)와 레티셰 철도는 [http://www.myswitzerland.com/ja/home.html 스위스 정부 관광국]의 협력을 얻어 자매 철도 제휴를 맺었다.

연도사건
1919년오다와라 전기철도에 의해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8.9km) 개통.
1928년하코네 등산 철도 (箱根登山鐵道) 로 회사명 변경.
1935년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6.1km) 개통, 2량 연결 운행 시작.
1950년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 복선 궤도화, 전차선 전압 1500V로 승압, 오다큐 전철 열차 직통 운행 개시.
1972년CTC화, 니노타이라 역을 조코쿠노모리 역으로 개칭.
1993년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 전차선 전압 750V로 승압, 3량 편성 운행 개시.
2006년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 영업 열차는 오다큐 전철 차량만 운행, 해당 구간 1435mm 궤간 레일 철거.
2008년오다큐 전철 특급 외 열차 분할 증결 운행 중단, 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 4량 편성 운행.
2019년 10월 12일태풍 하기비스 영향으로 하코네유모토 역-고라 역 운행 중지.[1]
2020년 7월 9일정비된 노선에서 시험 열차 운행 시작, 7월 23일 운행 재개.[2]
2024년 4월 1일회사명이 하코네 등산 철도 주식회사에서 오다큐 하코네 주식회사로 변경.[8]


2. 1. 1. 초기 계획과 노선 변경

1896년 하코네 유람 철도가 노선 면허를 신청하는 등 하코네에 등산 전차를 운행하려는 계획은 이전부터 존재했다. 1900년 고즈와 유모토를 잇는 전기 철도 노선(하코네 등산 철도 오다와라 시내선 참조)을 개통한 오다와라 전기 철도가 같은 해 5월 23일 온천촌으로부터 "노선을 당 촌까지 연장해 주었으면 한다"는 노선 연장 요청을 받으면서 계획이 구체화되었다. 오다와라 전기 철도는 이 요청에 긍정적으로 대처하여, 같은 해 9월까지 "하코네 유람 철도의 창립에 소요된 비용을 부담한 후, 노선 자체는 오다와라 전기 철도의 연장선으로 부설한다"는 방향성을 정리했지만, 같은 해 9월 임시 주주 총회에서 부결되었다.

1907년 스위스에서 등산 철도 실황을 시찰한 자로부터 "스위스를 본보기로 하여 하코네에 등산 철도를 건설해야 한다"라는 편지가 오다와라 전기 철도에 도착하면서 등산 전차 건설 계획이 다시 구체화되었다. 마스다 타카시나 이노우에 가오루 등의 실업가도 이 사업을 오다와라 전기 철도에 권고하였고, 1910년 1월 임시 주주 총회에서 유모토역(당시)에서 고라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같은 해 4월 노선 연장을 신청하고, 다음 달에는 고라역에서 센고쿠하라를 거쳐 도카이도 본선(당시)사노역(당시)으로의 연장 계획을 추가하여, 1911년 3월 1일에 등산 철도 건설 면허가 교부되었지만, 건설에는 "자연의 경관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이 붙었다.

2. 1. 2. 난공사와 개통

데야마 철교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건설은 여러 난관에 직면했다. 1910년 1월, 오다와라 전기 철도는 하코네유모토역에서 고라역까지 노선 연장을 결정하고, 1911년 3월 1일에 등산 철도 건설 면허를 받았다. 그러나, "자연 경관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이 붙었다.

1900년 5월, 온천촌으로부터 노선 연장 요청을 받은 것이 등산 전차 건설 계획의 구체화 계기가 되었다. 1907년에는 스위스의 등산 철도를 시찰한 인물로부터 "스위스를 본보기로 하여 하코네에 등산 철도를 건설해야 한다"라는 제안을 받았다. 마스다 타카시, 이노우에 가오루 등 실업가들도 이 사업을 권고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자재 수입을 중단시켰고, 하야카와 교량(데야마 철교) 건설의 어려움, 온천맥 보호를 위한 우회 루트 선정 등 많은 난관에 부딪혔다. 이로 인해 건설비가 증가하여 사채 발행 및 증자가 필요했다.

착공 7년여 만인 1919년 6월 1일,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오다큐 전철과의 직결 운행

1935년 오다와라역 - 하코네유모토역 간 철도선 개통으로 오다와라에서 고라까지 직통 운전이 시작되면서, 오다와라 시내선(궤도선)과 별도로 선로가 부설되었다. 1950년에는 오다큐 전철신주쿠역 직통 특급 및 급행 열차 운행을 위해 오다와라 - 하코네유모토 구간이 삼선궤조로 변경되고, 가선 전압이 1500V로 승압되었다.

듀얼 게이지 선로


오다큐 전철과의 직결 운행 초기에는 기술적, 경리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하코네 등산 철도 차량의 제동등은 오다큐 전철 차량보다 어두웠고, 운전 전류도 달라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임 수입 배분 문제와 하코네 등산 철도 측 차장의 승무 범위 등 경리 및 운용상의 문제도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양사 간 협의를 통해 해결되었다.

2. 3. 3량 편성 운행과 삼선궤조 구간 축소

철도선 이용객 증가로 1991년 연간 수송 인원이 1천만 명을 넘어섰다. 당시 하코네를 방문하는 관광객 중 52%가 하코네 등산 철도를 이용하고 있었다. 등산 전철은 2량 편성으로 15분 간격이 최대 수송 능력이었고, 봄 대형 연휴나 하코네 다이묘 행렬이 개최되는 11월 등에는 등산 전철을 타는 데 2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특유의 선로 조건 때문에 증편이 불가능하여, 열차를 최대 3량 편성으로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철도선의 하코네유모토역에서 고라역까지의 각 역은 개업 이후 2량 편성에 대응하는 설비로 되어 있었고, 모든 역에서 홈 연장 대응 공사가 실시되었다. 가장 난공사였던 것은 토노사와역 공사로, 역의 양쪽이 터널로 둘러싸여 있고, 개업 당시부터 고라 측 분기기가 터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었으며, 역으로 통하는 길은 좁은 인도가 있을 뿐이었다. 이 때문에 대형 기계를 도입할 수 없어 오다와라 측 터널 확장은 거의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시공하게 되었고, 문자 그대로 인해 전술로 공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토노사와역 공사만으로 총 공사비 20억 중 절반 가까이가 소요되었다.

이 외에도 변전소 증강, 가선 전압을 600V에서 750V로 승압, 일부 차량의 2량 고정 편성 등이 이루어졌다. 토노사와역 공사가 예정보다 빨리 종료되어, 당초 1993년 10월부터 예정되었던 3량 편성 운행은 앞당겨져 같은 해 7월 14일부터 3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다.

3. 특징



이리우다역의 복선 궤간 구간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1. 급경사

하코네유모토역과 고와키다니역 사이에는 80‰(퍼밀)이라는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일본의 점착식 철도에서 가장 급한 경사가 존재한다. 80‰의 경사는 1,000m를 가는 동안 고저차가 80m나 된다는 것으로, 이는 궤조(레일)를 고정하지 않고 침목 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갈 정도의 경사이며, 각도로는 약 4.57도이다. 차량 1량의 전체 길이가 14.66m[14]로, 80‰ 경사에서는 전후로 1.17m 정도의 고저차가 생긴다.

하코네유모토역 인근 80‰ 경사 구간을 달리는 3000형 차량


건설 당시 일본에서 가장 급한 경사는 신에츠 본선의 우스이 고개 68‰[15]였고, 건설 시 참고한 베르니나 철도의 가장 급한 경사는 70‰, 점착 성능이 높은 고무 타이어를 사용한 신교통 시스템(AGT)에서도 가장 급한 경사는 70‰ 정도이며, 본 노선의 80‰이라는 경사는 그것들을 넘어서지만,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다테야마 사방 공사 전용 궤도에서는 더 나아가 83.3‰의, 랙식 철도(압트식)를 채용하고 있는 오이가와 철도 이카와선에서는 90‰의 급경사 구간이 존재한다.

3. 2. 급커브

센겐다이 신호장과 미야노시타역 사이, 고와키다니역조코쿠노모리역 사이에는 반경 30m의 급커브가 존재한다.

이는 건설 당시 "자연 경관을 최대한 훼손하지 말 것"이라는 조건이 붙었고, 온천맥에 악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터널 굴착이 불가능했던 구간도 있어, 산자락을 따라 급커브로 궤도를 부설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반경 30m의 곡선에서는 3량 편성의 등산 전차의 선두와 마지막 차량의 방향이 6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룬다.

일본의 보통 철도에서 본선상에 반경 30m의 급커브가 설정된 사례는 드물다[16].

3. 3. 삼선궤조



이리우다 역과 하코네유모토 역 사이에는 표준궤(1435mm)와 협궤(1067mm)가 함께 설치된 삼선궤조가 있다.

이는 오다큐 전철이 협궤를 사용하기 때문에, 표준궤인 본선으로 직결 운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식이다. 처음에는 오다와라 역에서 하코네유모토 역까지 삼선궤조가 설치되었다. 이 방식은 한쪽 레일을 같이 쓰고, 다른 한쪽에는 2개의 레일을 나란히 설치하여, 분기기도 복잡한 구조였다.

1990년대 전반까지는 협궤와 표준궤 양쪽의 열차 밀도나 분기기의 수를 고려했을 때, 세계적으로도 본선을 능가하는 사례는 없었다.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는 야마가타 신칸센 운행을 위해 오우 본선 일부 구간에 삼선궤조를 도입하기 전, 본선의 설비를 살펴보고 분기기의 구조 등에 대해 연구했다. 그러나, 수송 능력의 차이와 배리어 프리 대응 등의 이유로 2006년 이후, 차량 기지가 있는 이리우다 역과 하코네유모토 역 이외의 구간에서는 삼선궤조가 없어졌다.

4. 운행 형태

신호장일본어영업 거리역간 거리해발 고도정차소재지특급보통등산
열차오다와라小田原0km 26mSS 오다와라하코네이타바시箱根板橋1.7km1.7km27mS 카자마츠리風祭3.2km1.5km48mS 이리우다入生田4.2km1km66mS(종착역)하코네유모토箱根湯本6.1km1.9km108mSSS하코네,
아시가라시모
토노자와塔ノ沢7.1km1km165m(종착역)(종착역)S데야마 신호장出山信号場8.3km1.2km234m오히라다이大平台9.9km1.6km349mS가미오히라다이 신호장上大平台信号場10.4km0.5km359m센닌다이 신호정仙人台信号場11.2km0.8km410m미야노시타宮ノ下12.1km0.9km448mS고와키다니小涌谷13.4km1.3km535mS초코쿠노모리彫刻の森14.3km0.9km551mS고라強羅15km0.7km553mS


4. 1. 궤도 조건

전 노선은 단선이며, 오다와라역- 하코네유모토역 구간은 50kg 레일을, 하코네유모토역- 고라역 구간은 길이 10m의 37kg 레일을 사용한다. 37kg 레일을 사용하는 이유는 터널 내에서 50kg 레일을 사용하면 높이 방향의 한계를 넘어서기 때문이며, 통과 톤수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오다와라역- 하코네유모토역 구간 최고 속도는 60km/h[9], 하코네유모토역- 고라역 구간 최고 속도는 40km/h이다. 내리막 구배에서는 30‰ 이하는 55km/h, 40‰ 이하는 50km/h, 50‰ 이하는 40km/h, 60‰ 이하는 35km/h, 70‰ 이하는 30km/h, 80‰ 이하는 25km/h로 속도가 제한된다. 반경 30m의 급커브 구간에서는 속도가 15km/h로 제한된다.

4. 2. 하코네 역전(箱根駅伝)과의 관계

코와키다니역 근처의 코와키다니 건널목은 도쿄 하코네 간 왕복 대학 역전 경주(하코네 역전) 코스에 포함되어 있어, 선수와 대회 관계 차량이 통과한다. 이를 위해, 매년 1월 2일(왕복) 낮과 1월 3일(복귀) 오전 8시에는 건널목에 직원을 배치하고, 선수나 대회 관계 차량이 지나갈 때 전차를 건널목 앞에서 정지시킨다. 이러한 조치는 과거 선수가 건널목에서 발이 묶여 차단기를 넘어 전차 앞으로 뛰어드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시행되었다.

4. 3. 승차권 및 좌석권

과거에는 선내 승차권이 2일간 유효하고 중도 하차가 가능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31] PASMO 등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오다큐 전철 특급 로망스카는 별도의 좌석권이 필요하다. 오다와라 역에서 하코네유모토 행 특급 열차를 타려면 당일 빈자리가 있을 경우에만 발매되는 좌석권(어른 200JPY, 어린이 100JPY)을 승강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철도선 성인 보통 여객 운임은 다음과 같다(어린이 반액, 10JPY 미만 올림). 승차권과 IC 카드 운임은 동일하다.[31]

킬로정(km)운임(円|엔일본어)
1 - 3160JPY
4220JPY
5260JPY
6310JPY
7360JPY
8420JPY
9460JPY
10510JPY
11560JPY
12620JPY
13670JPY
14710JPY
15770JPY


5. 연선 개황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은 오다와라역에서 하코네유모토역을 거쳐 고라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연선에는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오다와라역-하코네유모토역 구간은 JR 도카이도 본선과 나란히 달리다가 하야카와를 따라 국도 1호와 함께 이어진다. 이리우다역에는 등산 전차 차량 기지가 있으며, 이 구간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로 '평탄선'이라고도 불렸다.

하코네유모토역-고라역 구간은 본격적인 등산 철도로, 80‰의 급경사와 잦은 스위치백이 특징이다. 토노사와역, 데야마 신호장, 오히라다이역, 가미오히라다이 신호장, 센닌다이 신호장, 미야노시타역, 고와키다니역, 조코쿠노모리역 등을 지나며, 각 역마다 특색 있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하야카와 교량에서는 깊은 계곡을, 미야노시타역에서는 묘조가타케를 조망할 수 있다.

연선에는 1만 그루 이상의 수국이 심어져 있어,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는 '수국 전차'라고도 불린다. 야간에는 라이트업이 실시되고, '밤의 수국 전차'라는 특별 열차도 운행된다.

5. 1. 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오다와라역을 출발한 열차는 잠시 JR 도카이도 본선과 나란히 달리다가, 하코네이타바시역부터 하야카와를 따라 국도 1호와 함께 하코네유모토역으로 향한다. 이리우다역에는 등산 전차의 차량 기지가 있다.

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의 최대 경사는 40‰, 급커브의 반경은 160m 정도로, 오다큐 하코네의 철도 노선으로는 완만한 편이다. 1985년 당시 하코네 등산 철도는 이 구간을 "평탄선"이라고 칭했다. 하코네유모토역까지 구간에는 주택가가 이어진다.

해발 14m의 오다와라역을 출발한 열차는 잠시 JR 도카이도 본선과 나란히 남쪽으로 내려간다. 평탄선에서 유일한 터널인 고미네 터널을 빠져나오면, 반경 160m의 커브를 오른쪽으로 꺾어, 동시에 20‰의 비탈을 내려가 도카이도 신칸센을 지나, 해발 16m의 하코네이타바시역에 도착한다. 하코네이타바시역을 출발하면 바로 40‰의 오르막 경사가 된다. 국도 1호를 건너 잠시 국도 1호선과 나란히 간 뒤 33.3‰의 내리막 경사가 되지만, 고라 방면으로 가는 방향에서는 이것이 마지막 내리막 경사이다. 이 내리막 경사를 다 내려와 오다와라 아쓰기 도로의 고가교를 지나 해발 36m의 가자마쓰리역이다. 가자마쓰리역을 지나면 최대 28.5‰의 오르막 경사가 이어지고, 경사가 완만해지면 해발 54m의 이리우다역에 도착한다.

이리우다역을 출발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하코네정에 들어가지만, 38.4‰에서 40‰ 정도의 경사가 약 1km나 이어진다. 이 사이에 진행 방향 오른쪽 경사면에 송수관이 보이는데, 이 송수관은 등산 철도 개업을 위해 건설된 산마이바시 발전소로의 수로로, 발전소 자체는 그 후 도쿄 전력 (현: 도쿄 전력 재생 가능 에너지)으로 이관되었다. 경사가 완만해지고, 국도 1호선에서 하코네 구 가도가 갈라지는 것을 보면서, 해발 96m의 하코네유모토역에 도착한다.

5. 2. 하코네유모토-고라

하코네유모토역을 출발하면, 100m 정도만에 바로 80‰의 급경사가 시작된다. 차내에서도 손잡이가 기울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터널을 빠져나오면 해발 153m의 토노사와역에 도착한다. 상행 홈 한쪽 구석에는 돈 씻는 벤자이텐이 있다.

토노사와역을 출발하면, 이 노선에서 가장 긴 터널(317.9m)인 오가타케 터널에 들어선다. 터널 안에서도 80‰의 경사가 이어진다. 터널 출구는 상당히 위에 있어, 우물 밑에서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이 전차가 올라갈 수 있을지 놀라는 사람도 있다. 다음 스기야마 터널을 빠져나오면 하야카와 교량에서 깊이 43m의 계곡을 건넌다.

국도 1호선을 지나 데야마 터널에 들어가면 터널 안에서도 80‰의 경사이며, 그 후의 마츠야마 터널 좌측 커브가 이어지고, 거의 180도 방향이 바뀌면 오른편에서 선로가 내려와, 해발 222m의 데야마 신호장이다. 여기서 좌측 아래를 보면, 아까 건넜던 하야카와 교량이 눈 아래에 보인다. 하야카와 교량과 데야마 신호장은 직선 거리로 500m도 떨어져 있지 않다. 스위치백 때문에 여기서 진행 방향이 바뀌고, 아까 오른편에서 내려왔던 선로를 올라가게 되지만, 데야마 신호장을 출발하면 80‰의 경사는 1.3km 정도 이어진다. 경사가 71‰ 정도로 완만해지고, 좌측에서 선로가 내려오면 해발 337m의 오히라다이역에 도착한다. 데야마 신호장에서 오히라다이역까지 1.6km로, 단숨에 115m나 고도를 올린 셈이다.

오히라다이 - 고라 구간은 스위치백 역이기 때문에 진행 방향이 바뀐다. 500m 정도 66.67‰의 경사로 진행하면 해발 346m의 가미오히라다이 신호장이다. 이곳도 스위치백으로, 다시 진행 방향이 바뀌어, 오르막 80‰ 경사의 선로를 오른다. 고라행 전차에게는 마지막 터널이 되는 오히라다이 터널을 빠져나오면, 해발 398m의 센닌다이 신호장이다. 센닌다이에서는 다시 국도 1호선과 나란히 달리지만, 이 부근에서는 곳곳에 반경 30m에서 40m 정도의 급커브가 이어진다. 3량 편성 열차(전장 44m)의 경우, 선두차와 꼬리차에서는 최대 60도 가까운 각도 차이가 난다. 50‰에서 55‰ 정도의 경사로 서서히 고도를 높여, 해발 436m의 미야노시타역에 도착한다. 홈 너머로는 묘조가타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미야노시타역을 출발하면, 눈 아래로 온천가를 내려다보며, 80‰의 오르막 경사로 고도를 높여간다. 여기부터 이후 구간은 원래는 터널로 통과할 곳을, 온천맥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형에 거스르지 않는 루트 설정이 되었다. 이윽고, 경사가 55‰ 정도로 완만해지며, 반경 40m의 오른쪽 커브와 왼쪽 커브가 이어진 후에 국도 1호선의 건널목이 있다. 하코네 역전에서는 선수의 통과 시 이 건널목 앞에서 전차를 정차시킨다. 건널목을 지나면 곧 해발 523m의 고와키다니역이다.

코와키다니역을 출발하면, 산자락을 따라 반경 30m의 왼쪽 커브와 오른쪽 커브가 이어진다. 이것도 지형에 거스르지 않는 루트 설정의 결과이다. 여기부터는 경사도 33‰ 정도로 완만해지며, 커브도 가장 급해도 반경 60m 정도로 완만해진다. 조각의 숲 미술관 부지 옆을 지나, 해발 539m의 조코쿠노모리역에 도착한다. 여기부터는 거의 평탄한 선형으로, 지고쿠자와 교량을 건너면, 얼마 안 있어 해발 541m의 고라역에 도착한다. 스위치백이 3번 있었기 때문에, 하코네유모토역을 출발했을 때와는 진행 방향이 반대가 된 상태로 도착한다.

5. 3. 수국 전차

연선에는 1만 그루 이상의 수국이 심어져 있다. 원래는 토사 방지 목적으로 심었지만, 연선에서 차창이 열리는 장소가 적어 계절마다 차창으로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코네 등산 철도 직원들이 직접 심었다.

수국이 절정을 이루는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등산 전차는 '수국 전차'라고도 불린다. 1975년경부터는 '연선 미화 위원회'가 구성되어 수국이 절정을 이루기 전에 풀베기 등의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1981년 11월에는 '전국 꽃 가득 '꽃과 녹색의 역' 콩쿠르'에서 환경청 장관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부터 야간 라이트업도 실시하며, 정기 열차보다 천천히 수국을 감상할 수 있는 전용 열차인 좌석 지정제 '밤의 수국 전차'도 운행한다. 1994년부터 운행하는 '밤의 수국호'는 전 좌석 지정석이며, 전용 좌석권이 필요하다. 라이트업 기간에는 정기 열차도 수국 명소에서 임시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6. 차량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에는 하코네 등산 철도 소속 차량과 오다큐 전철 소속 차량이 운행된다. 하코네 등산 철도 소속 차량은 주로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을 운행하며, 급경사와 급커브 등 산악 지형에 특화된 설계를 갖추고 있다. 오다큐 전철 소속 차량은 신주쿠-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구간을 운행하며, 특급 로망스카와 통근형 전동차가 있다.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은 최대 80‰의 급경사와 급커브 구간을 운행하므로,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사양을 갖추고 있다.

6. 1. 하코네 등산 철도 차량 (하코네유모토-고라)



2010년 1월 고라역에 정차한 모니 1호


모든 열차는 이루다 차량 사업소에 배치되어 있다.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을 운행하는 차량의 특수한 사양은 특징 문단을 참고하라.

6. 1. 1. 특징

하코네 등산철도 철도선은 최대 80‰의 급경사와 지형에 따른 매우 급한 곡선을 가진 노선을 운행하기 때문에,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사양을 갖추고 있다.

6. 2. 오다큐 전철 차량 (신주쿠-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

오다큐 전철 특급 로망스카 '슈퍼 하코네'호, '하코네'호, '홈 웨이'호가 하코네유모토역신주쿠역 사이를 운행하며, 신주쿠와 하코네유모토 사이의 특급 소요 시간은 약 85분에서 95분이다. 토요일 및 공휴일에는 오다큐 특급 로망스카 '메트로 하코네'호가 하코네유모토와 지요다 선 기타센주 사이를 운행한다.

하코네유모토행 특급 열차는 오다와라역 7번 승강장에서 출발하지만, 오다와라역에서 하코네유모토행 특급 열차를 타려면 당일 빈자리가 있을 경우에만 발매되는 좌석권(대인 200엔, 소인 100엔)을 승강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하코네유모토역과 오다와라역 또는 오다큐 전철 신마쓰다 역 사이를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오다큐 전철의 4량 편성 전동차가 사용된다. 오다와라와 하코네유모토 간 소요 시간은 약 15분이며, 낮 시간당 편도 4개 열차가 운행된다. 2010년 기준으로 예외적인 경우만 평일에 오다큐 전철 신주쿠역 오전 7시 49분발 급행(급행 요금 불필요) 10량 편성 중 뒤 7호차에서 10호차가 하코네유모토까지 직통 운행한다. 사가미오노 역 매일 4시 50분발 하행 열차는 하코네유모토행이며, 토요일 및 공휴일에 마치다역을 5시 11분에 출발하는 하행 열차도 하코네유모토행이다. 하코네유모토행 열차는 오다와라역 7번 승강장에서 출발하지만, 일부 열차는 11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하코네유모토역 2번 승강장에서 오다와라역으로 향하는 보통 열차는 절반 정도가 오다큐 전철 신마쓰다 역까지 직통 운행되며, 그 외 평일 오전 6시 36분 및 7시 8분 발, 토요일 및 공휴일 5시 26분 발 열차는 도중역에서 급행 열차가 되어 오다큐 신주쿠역까지 직통 운행된다.

6. 2. 1. 로망스카

오다큐 전철 특급 로망스카, '슈퍼 하코네'호, '하코네'호 및 '홈 웨이'호가 하코네유모토역신주쿠역 사이에 운행된다. 신주쿠와 하코네유모토 사이의 특급은 약 85분부터 95분이 소요된다. 토요일 및 공휴일에는 오다큐 특급 로망스카 '메트로 하코네'호가 하코네유모토와 지요다 선 기타센주 사이를 운행한다. 특급 로망스카는 하코네 등산 철도선 내에서는 연접차가 10 또는 11량 편성으로, 기타는 6량 또는 7량으로 운행된다.[34]

6. 2. 2. 통근형

1000형[6], 5000형, 8000형 전동차가 사용된다.

1950년 이후 오다큐 전철 운행 초기에는 1600형, 1900형 등 30량으로 제한되었다. 이는 오다큐 선로 조건 초과 경사에 대응하기 위한 제동 장치 개량 차량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이후 1400형이나 2200형, 2400형 등도 운행하게 되었다.

1982년경까지 오다큐 운행 차량은 통근 차량은 2400형으로 제한되었다. 운행 구간 3개 역의 홈 길이가 짧았기 때문이지만, 1982년 7월부터는 5200형, 9000형 등 대형 차량도 6량 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단, 한동안 특급 차량 제외 운행 차량은 측면 창문이 1단 하강 창문인 차량으로 제한되었다.

2000년경에는 측면 창문이 2단 상승 창문으로 된 오다큐 전철도 하단 창문에서 손이 나갈 수 없도록 대책을 마련하여, 4000형(초대)을 제외한 6량 편성까지 모든 형식이 운행 가능하게 되었다.

2008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부터 오다큐 차량은 특급 차량을 제외하고 4량 편성 차량만 운행하고 있다.[32]

2009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부터 1000형 중 4량 고정 편성 3개 편성이 등산 전철과 같은 빨간색 컬러링으로 변경, 2012년 2월경에는 4량 고정 편성 1개 편성이 빨간색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이후 오다와라 - 하코네유모토 간 각역 정차는 이 4개 편성으로 한정 운행되었지만[33], 2021년 7월부터 일반 오다큐 컬러의 1000형 갱신차 운행이 시작되어, 등산 전철 컬러 차량은 2022년 9월을 기해 운행에서 물러났다.

7. 역 목록



전 구간이 가나가와현에 위치한다. 오다와라-이리우다 구간은 협궤(1067mm), 이리우다-하코네유모토 구간은 삼선궤조(1067mm/1435mm), 하코네유모토-고라 구간은 표준궤(1435mm)이다. 하코네유모토역에서 운전 계통이 분리되므로, 이 역을 넘는 구간을 승차하는 경우에는 환승이 필요하다. 특급 로망스카는 ● - 정차, | - 통과하며, 각역 정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므로 생략한다.

가선 전압역 번호역명표고(m)역간 킬로누계 킬로특급 로망스카접속 노선・비고소재지
rowspan="5"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99ccff;"|OH47오다와라역14-0.0오다큐 전철
OH
오다와라선 (OH47) (특급 로망스카신주쿠역 및 --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기타센주역까지 직통 운전)

도카이 여객철도:-- 도카이도 신칸센
동일본 여객철도:
JT
도카이도선 (우에노 도쿄 라인쇼난 신주쿠 라인) (JT 16)
이즈하코네 철도:-- 다이유잔선 (ID01)
오다와라시
OH48하코네이타바시역161.71.7
OH49가자마쓰리역361.53.2
OH50이리우다역541.04.2표준궤 차량은 열차 교환 불가
OH51하코네유모토역961.96.1운전 계통상의 경계역 (오다와라 방면과 고라 방면은 환승)아시가라시모군
하코네정
rowspan="10"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dffff;"|
OH52도노자와역1531.07.1
OH53오히라다이역3371.69.9
OH54미야노시타역4360.912.1
OH55고와키다니역5231.313.4
OH56조코쿠노모리역5390.914.3
OH57고라역5410.715.0오다큐 하코네:-- 강삭선 (하코네 등산 케이블카) (OH57)



동일본 대지진 이후 오다와라시 내 해발 표시 재조사 과정에서, 1985년 당시 하코네 등산 철도가 공표했던 표고와 국토지리원 지도의 표고가 다른 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하코네 등산 철도 건설 당시 측량 기준점 차이 때문이었다. 2013년 7월, 역 표고 표시와 역명판 수치 불일치 지적에 따라 모든 역의 수치가 재조사되었고, 같은 해 11월 각 역의 표고 표시가 수정되었다.

7. 1. 신호장

하코네 등산 철도선에는 여객역 외에 3개의 신호장이 있다. 이 신호장들은 모두 측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2개는 스위치백을 갖추고 있다.

이름해발 (2013년 기준)비고
데야마 신호장222m스위치백
가미오히라다이 신호장346m스위치백
센닌다이 신호장398m



데야마 스위치백


가미오히라다이 스위치백


센닌다이 신호 정차장

참조

[1] 웹사이트 Famous Japan mountain railway to take months to recover after Typhoon Hagibis: operator https://mainichi.jp/[...] The Mainichi 2019-10-18
[2] 웹사이트 Test runs begin to resume trains along Hakone mountain route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20-07-09
[3] 웹사이트 Traversing Hakone’s “Golden Course” by Land, Air, and Water https://www.nippon.c[...] 2020-08-14
[4] 웹사이트 Hakone Tozan Railway to introduce 3000 series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6-06
[5] 웹사이트 Hakone Tozan Railway to introduce 3100 series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12-06
[6] 웹사이트 6 major private railway vehicles in Kanto that can no longer enter the subway https://trafficnews.[...] 2021-03-20
[7] 간행물 Expected Resumption of Operation between Hakone-Yumoto Station and Gora Station https://www.hakone-t[...] Hakone Tozan Railway 2019-11-22
[8] 웹사이트 Notice regarding reorganization of Odakyu Hakone Group https://www.odakyu-h[...] 2024-01-24
[9]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0] 웹사이트 箱根の路線図 https://www.hakonena[...] 小田急箱根 2024-07-28
[11] 웹사이트 路線図(小田急線停車駅案内)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4-07-28
[12] 문서 Odakyu Hakone
[13] 웹사이트 土木学会 平成19年度選奨土木遺産 箱根登山鉄道 http://www.jsce.or.j[...]
[14] 웹사이트 車両紹介 モハ1形|箱根登山電車 箱根登山ケーブルカー https://hakone-tozan[...] 2019-12-22
[15] 문서 アプト式旧線の数値。66.7 ‰の粘着式新線への切り替えは1963年。
[16] 문서 江ノ島電鉄線にある半径28 mのカーブが普通鉄道最小半径である。
[17] 문서 2016年に北海道新幹線が開業した際に、青函トンネルを通る新中小国信号場 - 木古内駅間において供用開始。
[18] 문서 「地方鉄道線路復旧運輸開始」『官報』1924年9月18日 https://dl.ndl.go.jp[...]
[19] 문서 「地方鉄道線路復旧運輸開始」『官報』 1924年12月5日 https://dl.ndl.go.jp[...]
[20] 문서 「地方鉄道線路復旧運輸開始」『官報』 1925年1月15日 https://dl.ndl.go.jp[...]
[21] 문서 当時、既に国鉄では東海道本線に湘南電車を導入して客車列車を電車化する構想があり、伊豆方面への有料準急も電車運転する構想も既にあった。それは1950年3月に国鉄80系電車として結実し、同年10月には80系電車を使用した有料準急も運転されるようになった。
[22] 뉴스 箱根登山鉄道、7月下旬に運転再開へ 予定を前倒し https://www.kanaloco[...] 2020-03-26
[23] 뉴스 台風被害の箱根登山鉄道が試運転 7月の全線運転再開へ https://www.kanaloco[...] 2020-05-11
[24] 웹사이트 箱根登山電車 箱根湯本駅-強羅駅間の営業運転再開について https://cops.ssl-oda[...] 箱根登山鉄道 2020-06-24
[25] 뉴스 箱根登山鉄道、全線で運転再開 「お帰りなさい」沸く沿線 https://www.kanaloco[...] 2020-07-23
[26] 뉴스 お帰り! 箱根登山鉄道 台風被災から9カ月ぶりに全線復旧 https://www.tokyo-np[...] 2020-07-23
[27] 간행물 小田急箱根グループの組織再編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odakyu-h[...] 小田急箱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当時) 2024-01-24
[28] 웹사이트 「箱根登山鉄道」社名消滅へ 会社統合で96年の歴史に幕 何が変わる?バスはどうなる? https://trafficnews.[...] 2024-01-24
[29] 문서 小田急電鉄とナビタイムジャパンが連携、新ダイヤ対応の乗換案内特設サイトを提供開始 http://corporate.nav[...] ナビタイム 2018-02-05
[30] 문서 新ダイヤでの運行開始日を決定!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7-12-15
[31] 웹사이트 鉄道旅客運賃の改定について https://www.hakonena[...] 箱根登山鉄道 2022-08-29
[32] 문서 同日より供用開始の風祭駅新ホームは4両編成までの対応となり、また後に箱根板橋駅・入生田駅も嵩上げやホームの一部撤去により、実質的な有効長が4両編成分に縮小されている。
[33] 문서 "2012年3月17日(土) 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eb.archive.[...] 箱根登山鉄道公式サイト
[34] 문서 10両編成の小田急30000形電車|30000形「EXE」「EXEα」と小田急60000形電車|60000形「MSE」については、小田原駅または相模大野駅で増解結|切り離しを行い、最大6両編成で乗り入れている。
[35] 문서 小田急線・箱根登山線・箱根ロープウェイ・箱根海賊船にて2014年1月から駅ナンバリングを順次導入し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3-12-24
[36] 웹사이트 天下の嶮の登山電車〜神奈川県・箱根町〜 http://www.nhk.jp/p/[...] NHK 2022-06-04
[37] 문서 세계에서 가장 급한 구배를 갖은 점착식 철도는 프랑스 국철 인 SNCF의 Saint-Gervais–Vallorcine 선이며 최급 구배는 9%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